요가알기/일반요가49 아쉬탕가 요가 선 자세 시퀀스 아쉬탕가 요가에서 선 자세들은 우리가 움직이고, 균형을 잡고, 평형을 찾기 위해 어떻게 중력을 이용해야 하는지 발을 통해서 우리와 대지를 연결시켜줍니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토대'입니다. 역동적인 선 자세를 만들기 위해서는 빈야사의 테크닉이 항상 조화롭게 존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내적인 수련의 조절이 외적인 자세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응시 점(드리스티)을 통해 당신의 머리는 단신의 골반과 정확히 연결되어야 하고, 이것은 다시 당신의 초점을 호흡과 반다의 내부로 끌어들입니다. 자세는 호흡에 따라 우아하게 다듬어질 수 있습니다. 대지 자체로 들어가는 것처러므 숨을 내쉬면서 자세를 향해 당신의 뿌리로 가는 것입니다. 물라 반다는 당신의 골반을 위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골반의 토.. 2017. 11. 24. 아쉬탕가 요가를 배우는 방법? 아쉬탕가 요가를 배우는 전통적인 방법은 일대일(한 명의 수련자가 한 명의 스승과 함께 하는)로 수련하는 것입니다. 각각의 아사나는 수련자가 그 자세를 취할 준비가 되었다고 여겨질 때에만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 와서는 두 가지 지도 방법이 발전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스스로 연습하는' 방법으로 교사가 연습을 이끌어주고, 정보를 가르쳐주고, 개인적인 진보를 확인해주고, 물리적으로 자세를 교정해줍니다. 두 번째는 '전통적인 숫자를 세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프라이머리 시리즈, 즉 요가 치키사를 완전히 연습할 수 있는 수준의 수련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숫자를 세는 목적은 호흡을 확장함으로써 정확한 빈야사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개개인의 수련자의 집중을 깊이 있게 만드는 데 있습니다. 이 .. 2017. 11. 20. 초보자의 피니싱 - 빠드마아사나 빠드마(Padma)는 연꽃을 뜻합니다. 연습은 태양 경배의 반복으로 시작되고, 마치 데이지 레이스들이 밴드를 만들듯이 이 자세들은 호흡의 실로 짜입니다. 연꽃과 휴식 자세는 그 원을 완성하는 마지막 꽃들입니다. 태양 경배는 처음에 할 때 힘이 들기 때문에 호흡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매트 위에 빠드마아사나 자세로 앉아 이를 조절하기 위해 우짜이 테크닉에 지중해야합니다. 손을 무릎 위에 올려 놓기 전에 수련자의 하복부를 잡고 복벽을 '끌어당겨서' 호흡을 폐로 끌어 들이마시고, 물라 반다와 우디아나 반다에 집중해야 합니다. 수련자의 호흡이 안정되면 마음이 점차 고요해질 것입니다. 그러면 누워서 휴식해야합니다. 2017. 11. 17. 태양 경배 - 수리야 나마스까라 수리야 나마스까라는 태양신에 대한 경배의식입니다. 이것을 정확하게 연습하면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가져오고, 인생의 모든 측면에서 영적인 각성의 길로 이르는 준비가 됩니다. 요가의 핵심적인 요소인 헌신이 빠진다면, 요가는 단순한 육체적 운동이 될 것입니다. 수리야 나마스까라는 '요가'라 불리는 상태를 성취하기하기 위한 연습 방법의 도입입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의 결합을 통해 우리를 궁극적인 자각의 상태로 이끕니다. 수리야 나마스까라 A는 보통 5번 반복을 합니다. 그 사이클은 다음과 같습니다. 숨을 내쉬고, 중립자세로 서서 코끝을 응시한다. 1. 숨을 들이마시고, 손을 위로 뻗어 엄지손가락을 응시한다. 2, 숨을 내쉬고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코끝을 응시한다. 3. 숨을 들이마시고.. 2017. 11. 15. 빈야사의 중요 요소 - 트리스타나 Tristana 빈야사의 진정한 정수는 트리스타나가 성취될 때입니다. 이것은 아쉬탕가 요가의 세 가지 주요한 집중들의 결합입니다. 즉 고도의 호흡과 움직임의 조화, 반다, 그리고 드리스티의 결합입니다. 연습을 통해 이 결합이 이루어지면 강력한 유동성의 파동과 우아한 흐름이 나오고, 5대 원소의 에너지가 반응해 터져 나오게 됩니다. 흙 - 물라 반다는 기초, 안정성, 그리고 힘을 생산합니다.물 - 빈야사의 유동성은 땀을 생산합니다.공기 - 우짜이 호흡과 반다는 가벼움을 만듭니다.불 - 이그니의 정화하는 소화력의 불에테르 - 정묘한 모든 곳에 퍼지는 쁘라나 트리스타나는 반복을 통해 성취됩니다. 전환과 자세들을 정묘하고, 자연스럽고, 우아하게 만들기 위해 반복해서 연습합니다. 2017. 11. 10. 빈야사의 중요 요소 - 드리스티 Dristi 응시점 아쉬탕가 요가 시스템의 각각의 아사나는 집중해야 할 응시 점이 정해져 있습니다. 모두 아홉 개의 드리스티가 있으며, 각각의 드리스티는 밖으로 향하는 시선을 안으로 끌어들이도록 하는 작용을 합니다. 드리스티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코끝 ◎ 엄지손가락 ◎ 제3의 눈 ◎ 배꼽 ◎ 하늘을 향해 ◎ 손 ◎ 발가락 ◎ 좌측 멀리 ◎ 우측 멀리 드리스티를 할 때는 규칙에 맞게 적용시켜 합니다. 그러면 마음은 집중되고, 수련자들은 내면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내면의 초점은 집중과 명상이 보다 발달되도록 돕습니다. 2017. 11. 9. 빈야사의 중요 요소 - 잘란다라 반다 Jalandhara bandha 잘란다라 반다는 세 번째 반다이며, 이 반다는 많은 아사나에서 섬세한 형태로 드리스티 또는 머리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어납니다. 수리야 나마스까라 A는 이 반다를 성취하기 위한 최고의 동작입니다. 오바른 드리스티(배꼽_를 하기 위해 턱을 쇄골 사이의 브이V자 홈을 향해 당겨 가져가게 됩니다. 이것은 쁘라나야마, 또는 '호흡 조절(아쉬탕가 요가의 네번째 가지를 위함)' 의 특별한 잠금입니다. 이 잠금은 프라닉 에너지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호흡을 멈출 때 머리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막습니다. 잘란다라 반다는 자격을 갖춘 교사의 지도에 따라 배우는 것이 최선입니다. 2017. 11. 8. 빈야사의 중요 요소 - 우디아나 반다 Uddiyana bandha 모든 반다 중에서 가장 역동적인 우디아나 반다는 '위로 날아오르다'로 번역됩니다. 내쉬는 호흡의 끝에서 이 반다의 자세를 가장 쉽게 취할 수 있습니다. 이 '비어 있음'은 수리야 나마스까라 A의 아래로 향한 개 자세에서 가장 잘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자세에서 다섯 번 호흡하는 동안 머무릅니다. 여러 번의 전환 이후 이 자세에 도달하면, 당신은 이제 몸을 정적인 상태에 두고 호흡의 리듬을 일치시키고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자세는 우디아나 반다와 물라 반다를 터득하는 데 가장 좋은 자세입니다. 왜냐하면 우디아나 반다는 횡경막과 늑골, 그리고 늑간근의 작용과 직접 연관되어 있고, 이것은 우짜이 호흡을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내쉬는동안 횡격막은 이완되고, 폐의 공기를 밖.. 2017. 11. 7. 빈야사의 중요 요소 - 물라 반다 Mula bandha 이 반다는 근본적인 잠금 또는 근본적인 기초입니다. 이것은 호기의 끝에서 당신의 호흡이 '완전히 텅 빌 때' 발견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호흡 전체 사이클에 적용됩니다. 수련자의 몸이 완전한 호기의 끝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면, 항문 괄약근의 정묘한 수축에 의한 가벼운 느낌과 회음부를 포함한 전체 생식기 영역에서 앞으로 당겨지는 느낌과 위로 당겨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골반 기저부'로 알려진 이것의 들어 올리는 작용이 하복부의 소화기관을 지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내부의 근육입니다. 물라 반다는 그 기초가 발, 손, 엉덩이 또는 무엇이든지 간에 튼튼한 기초를 위한 근본 에너지의 공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물라 반다는 또한 몸을 보호하여 쁘라나를 내부적으로 보존하여 우다아나 반다가 .. 2017. 11. 6. 이전 1 2 3 4 5 6 다음